카테고리 없음

심폐소생술이란?

소창섭 2014. 1. 22. 08:48

 

 심폐 소생술은 의식을 회복하기 위한 의학적 처치 및 방법 혹은 사망 상태에 이르렀을 때 다시 소생 시키는 기술입니다. 따라서 심폐 소생술은 응급의료의 한 수기로써 그 적용범위는 대단히 넓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 응급 구조자는 심폐 소생술을 통달하여 언제 어디서라도 이 기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. 따라서 응급구조자는 의식이 없는 환자를 즉시 발견하였다면 환자를 살릴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, 호흡정지나 심 정지가 있다면 즉시 처치를 하여야 합니다.

 호흡정지나 심 정지가 있을 때 처음 몇분 동안은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농도의 산소가 몸 속에 있으며 호흡이 먼저 정지되었더라도 심장은 몇분 동안 혈액을 운반하여 폐 속에 남아있는 산소를 뇌와 중요한 장기로 운반하므로 이 산소가 다 떨어지게 되면 심장 자체도 정지하는데 이것을 심 정지(cardiac arrest)라고 합니다. 따라서 심폐 소생술이란 갑자기 예고없이 사람이 사망하려고 할 때에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응급처치를 말하며 심 정지가 일어났을 때 환자는 임상적으로 사망한 것을 말하며 이때 심폐 소생술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내부장기의 손상이 일어날 수도 있고 또한 산소 결핍으로 인한 영구적인 손상은 뇌에서 가장 먼저 일어나고 그 다음에는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다른 장기에서도 손상이 일어납니다. 그래서 가능한 기본소생술을 빨리 시작하면 빨리 할수록 뇌손상이 일어날 확률은 그만큼 적어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.

 

 

◎심폐소생술

 인공호흡은 심장이 활동하고 있을 때 환자를 소생시키는 방법일 뿐입니다. 심장이 멎으면 호흡으로 인한 산소공급이 각 장기에 보내질 수가 없습니다. 그러므로 우리들은 정확한 방법을 습득하여야 할 것입니다.



◎심장이 멎었을 때의 증상

의식 상실
맥박 상실-경동맥, 대퇴동맥, 요골동맥 등
호흡 정지-호흡이 멈춘 후에도 심장은 한동안 활동할 수 있슴
청색증
눈의 동공이 확대되고 그대로 고정
만일 심정지가 의심되면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이 있는가를 확인한 후 호흡이 정지되었으면 인공호흡을 실시하는데 4번 연속해서 재빠르게 공기를 불어 넣어야 합니다. 이때는 폐의 공기가 완전히 빠지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. 인지와 중지 두 손가락으로 환자의 경동맥의 맥박을 확인하여 맥박이 느껴지면 정상 호흡 때까지 인공호흡을 시행하고 맥박이 없으면 흉골부위를 주먹으로 내려친 후 다시 맥박을 확인합니다. 이것은 거의 순간적으로 이어져야 하는 행동이며 맥박을 느낄 수 없을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야 확인합니다.



◎성인의 심폐소생술

■ 의식유무 확인합니다.
환자 옆에 앉아 가볍게 흔들면서 큰 소리로 "괜찮아요?"하고 물어보아 의식을 확인합니다.


■ 도움을 요청합니다.
환자가 반응이 없을 때 도움을 요청하고 119전화 요청을 합니다.


■ 환자의 자세 교정합니다.
필요한 경우 환자를 똑바로 눕혀 신체의 뒤틀림이나 부상의 악화를 방지해야 합니다.


■ 기도를 개방합니다.
즉각적인 기도개방은 환자를 성공적으로 소생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합니다.
입안에 모든 이물질을 제거합니다.
머리를 뒤로 젖히면서 턱을 들어올립니다.(두부후굴법)


■ 호흡유무를 확인합니다.
환자의 입 근처에 구조자의 얼굴을 대고 호흡음을 들으면서 눈으로 가슴을 보면서 확인합니다.
흉곽의 움직임을 확인합니다.
호흡음을 듣도록 합니다.
구조자의 뺨에 호흡에 느껴지는지 확인합니다.(약 5초간 보고, 듣고, 느끼면서 호흡을 확인합니다..)

■ 두 번 충분히 불어 넣습니다.
환자가 호흡하지 않으면 곧바로 환자의 폐 속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줍니다.

머리를 뒤로 젖힌 상태를 유지합니다.
환자의 코를 손가락으로 막도록 합니다.
환자의 입을 구조자의 입으로 단단히 덮습니다
각각 1.5초씩 두 번의 느린 호흡을 불어넣습니다.(인공호흡)
공기가 들어가는지를 알기 위해 흉부를 관찰합니다.


■ 맥박을 확인(목 옆의 동맥 박동 확인)합니다.
목을 뒤로 젖히고 두 개의 손가락을 구조자 가까운 쪽의 목에 있는 목의 홈까지 내립니다.
맥박을 5-10초간 측정합니다.

■ 심한 출혈을 검사합니다.
머리에서 발끝까지 심한 출혈이 있는지 검사합니다.

■ 심폐소생법을 실시합니다.
경동맥의 맥박이 박동하지 않으면 심폐소생법을 실시합니다.


■ 손 위치를 찾습니다.
흉골의 아래쪽 끝 부분을 기준으로 해서 손가락을 놓습니다.
위의 기준이 되는 손가락 옆의 다른 손의 손 꿈치를 놓습니다.
기준점에서 손을 떼고, 그 손을 다른 손의 위에 얹어 놓습니다.
손가락을 흉부에서 뗍니다.

■ 흉부를 15회 압박합니다.
손 위 방향에 어깨를 위치시킵니다.
흉골을 3.8-5Cm 정도 누릅니다.
약 10초 동안에 15회 압박을 가합니다.
압박은 상하로 유연하게 실시하고, 손은 흉부에서 떼지 않도록 합니다.

■ 천천히 2회 공기를 불어 넣습니다.
머리를 뒤로 젖히고, 턱은 들어올려 기도를 개방합니다.
코를 막고 구강대 구강법으로 공기를 유입시킵니다.
1.5초씩 2회 공기를 불어 넣습니다.
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안 시선은 가슴을 확인합니다.

■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합니다.
15회 압박과 2회의 공기 유입을 반복합니다.

■ 맥박을 재확인합니다.
약 1분 후에 5초동안 맥박을 확인합니다.
만일 환자의 맥박이 살아나고 호흡을 한다면, 기도를 계속 개방시키고, 호흡을 확인합니다.
-맥박은 있으나 여전히 호흡이 없는 경우 인공호흡을 계속합니다.

■ 계속 맥박과 호흡이 없는 경우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 실시합니다.
정확한 손 위치를 확인해서 흉부에 위치시킵니다.
15회 압박과 2회 공기유입을 반복 실시합니다.
매 수분마다 맥박과 호흡을 확인합니다.


◎어린이의 경우

■ 의식유무 확인합니다.
어린이의 어깨를 두드리거나 흔들면서 의식을 확인합니다.

■ 도움을 요청합니다.
어린이가 반응이 없을 때 도움을 요청하고 119전화 요청을 합니다.

■ 환자의 자세 교정합니다.
필요한 경우 어린이를 똑바로 눕혀 신체의 뒤틀림이나 부상의 악화를 방지해야 합니다.

■ 기도를 개방합니다.
즉각적인 기도개방은 어린이를 성공적으로 소생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합니다.

입안에 모든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합니다.
머리를 뒤로 젖히면서 턱을 들어올립니다.(두부후굴법)

■ 호흡유무를 확인합니다.
어린이의 입 근처에 얼굴을 대고 호흡음을 들으면서 눈으로 가슴을 보면서 확인합니다.

흉곽의 움직임을 확인합니다.
호흡음을 듣도록 합니다.
호흡에 느껴지는지 확인합니다. 약 5초간 보고, 듣고, 느끼면서 호흡을 확인합니다.

■ 두 번 충분히 불어 넣습니다.
어린이가 호흡하지 않으면 곧바로 어린이의 폐 속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줍니다.

머리를 뒤로 젖힌 상태를 유지합니다.
어린이의 코를 손가락으로 막도록 합니다.
어린이의 입을 구조자의 입으로 단단히 덮도록 합니다.
각각 1.5초씩 두 번의 느린 호흡을 불어넣습니다.(인공호흡)
공기가 들어가는지를 알기 위해 흉부를 관찰합니다.

■ 맥박을 확인(목 옆의 동맥 박동 확인)합니다.
목을 뒤로 젖히고 두 개의 손가락을 구조자 가까운 쪽의 목에 있는 목의 홈까지 내립니다.
맥박을 5-10초간 측정합니다.

■ 심한 출혈을 검사합니다.
머리에서 발끝까지 심한 출혈이 있는지 검사합니다.

■ 심폐소생술(CPR)을 실시합니다.
만약 어린이가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(CPR)을 실시합니다.

■ 손 위치를 찾습니다.
이마에 손을 놓고 머리를 뒤로 젖히도록 합니다.
흉골의 아래쪽 끝 부분을 기준으로 해서 손가락을 놓도록 합니다.
손가락으로 짚은 곳 바로 위에 같은 손의 손꿈치를 재빨리 옮깁니다.

■ 흉부를 5회 압박합니다.
손 위 방향에 어깨를 위치시킵니다.
흉골을 2.5-3.8Cm 정도 누릅니다.
약 3초 동안에 5회 압박을 가하도록 합니다.
압박은 상하로 유연하게 실시하고, 손은 흉부에서 떼지 않도록 합니다.
손은 머리가 계속 뒤로 젖혀지도록 합니다.

■ 천천히 1회 공기를 불어 넣도록 합니다.
머리를 뒤로 젖히고, 턱은 들어올려 기도를 개방시킵니다.
코를 막고 구강대 구강법으로 공기를 유입시킵니다.
1.5초씩 1회 공기를 불어 넣습니다.
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안 시선은 가슴을 확인합니다.

■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합니다.
5회 압박과 1회의 공기 유입을 반복합니다.

■ 맥박을 재확인합니다.
약 1분 후에 5초동안 맥박을 확인합니다. 만일 어린이의 맥박이 살아나고 호흡을 한다면
기도를 계속 개방시키고, 호흡을 확인합니다.

■ 계속 맥박과 호흡이 없는 경우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 실시합니다.
정확한 손 위치를 확인해서 흉부에 위치시킵니다.
5회 압박과 1회 공기유입을 반복 실시합니다.
매 수분마다 맥박과 호흡을 확인합니다.